실시간 커뮤니케이션 기능(텍스트·음성 채팅), 게시판/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기획하였습니다.
"디스코드"와 "토크온"을 모티브로 하여, 게이머들 간 음성 채팅할 수 있는 플랫폼이며,
게임별로 채널을 구성하여 기존 서비스와의 차별점을 두었습니다.
프로젝트는 총 6명으로 3차에 걸쳐 5개월 동안 진행되었으며, 저는 팀장으로서 아키텍처 전반을 설계하고 백엔드 개발을 주도했습니다.
또한 노션 및 지라를 활용한 프로젝트 일정·이슈 관리와 매일 스크럼을 통해 팀 내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이끌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시스템 설계 능력, 주도적인 문제 해결 역량, 팀원 간 협업 및 소통 등 다양한 방면에서 기여하여,
프로젝트의 완성도와 팀 전체 역량 강화를 동시에 이루도록 노력했습니다.
Public과 Private 서브넷을 분리하여 보안성을 강화하고, Nginx 로드 밸런서를 통해 트래픽을 분산하여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AWS(메인)와 Oracle Cloud(백업)를 활용한 이중화 아키텍처를 구성하여, 특정 클라우드 장애 발생 시 트래픽을 자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Crontab, mysqldump, gzip, SCP 등을 활용하여 데이터베이스 백업 및 복구 자동화를 구현하고,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서비스 복구가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Spring Boot 기반으로 RESTful API를 설계하고, Redis를 활용한 캐싱 및 동시성 제어를 적용하여 트래픽이 몰리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데이터 처리를 가능하게 했습니다.
AWS S3를 이용한 이미지 업로드 시스템을 구축하여, 파일 저장의 확장성과 관리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Stateless JWT 인증(Access/Refresh 토큰) 구조를 도입하여 서버 부하를 줄이고, Spring Security Role 검증을 통해 권한 관리를 세분화함으로써 보안성을 강화했습니다.
GitHub Actions를 활용해 CI/CD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빌드·배포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운영 부담을 줄였습니다.
지라(JIRA) 기반 태스크 관리(스토리 포인트 적용)를 통해 업무를 균형 있게 분배하고,
매일 13시 30분 스크럼 미팅을 진행하여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관리했습니다.